주식 시장에서 거래는 정규장 시간에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. 정규장 이후에도 주식을 사고팔 수 있는 시간외 거래가 존재하며,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더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시간외 거래는 정규 거래와 다르게 운영되므로,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. 이 글에서는 주식 시간외 거래의 개념, 방법, 그리고 미국 시장의 시간외 거래 시간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주식 시간외 거래란?
주식 시간외 거래란 정규장이 끝난 후에도 특정한 시간 동안 주식을 사고팔 수 있는 거래 방식입니다. 일반적으로 시간외 거래는 “시간외 종가 거래”와 “시간외 단일가 거래”로 나뉩니다.
1. 주식 시간외 거래의 종류
-
시간외 종가 거래
- 정규장이 끝난 후, 당일 종가로 거래하는 방식
- 국내 시간 15:40~16:00
- 가격 변동 없이 종가로만 매매 가능
시간외 단일가 거래
장전 시간외 거래
2. 시간외 거래의 장점과 단점
✅ 장점
- 장 마감 후 중요한 뉴스 반영 가능
- 종가 기준으로 매매할 수 있어 예측이 쉬움
- 낮 동안 거래하지 못한 투자자들에게 기회 제공
❌ 단점
- 거래량이 적어 원하는 가격에 매매 어려움
- 급격한 변동 가능성 (특히 단일가 거래)
- 호가 스프레드가 커질 수 있음
주식 시간외 거래 방법
시간외 거래는 증권사의 HTS, MTS, 또는 증권사 앱을 통해 쉽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. 대표적인 증권사 플랫폼을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.
1. 키움증권 (영웅문)
-
HTS (PC) 방법
- 주문창에서 “시간외 종가” 또는 “시간외 단일가” 선택
- 종목 코드 입력 후 주문 수량 입력
- 종가 또는 희망 가격 입력 후 매수/매도
-
MTS (모바일) 방법
- 영웅문 앱 실행 → “주문” 메뉴 선택
- “시간외 주문” 클릭 → 매매 유형 선택
- 수량 및 가격 입력 후 주문 실행
2. 토스 주식 (해외 주식 포함)
-
국내 주식 시간외 거래
- 토스 앱 실행 → “주식” 탭 선택
- 원하는 종목 선택 후 “주문하기” 클릭
- “시간외 주문” 선택 후 매매 진행
-
해외 주식 시간외 거래 (미국 주식)
- 토스는 아직 미국 주식 시간외 거래를 지원하지 않음
- 키움, 미래에셋, 한국투자증권 등의 HTS/MTS 이용 필요
3. 거래 시 유의할 점
- 수수료 시간외 거래 시 증권사별 수수료 확인 필수
- 거래량 정규장보다 거래량이 적어 유동성 부족 가능성
- 호가 스프레드 호가 간격이 커지면서 원하는 가격 체결 어려울 수 있음
미국 주식 시간외 거래 시간
미국 주식 시장은 정규 거래 시간이 끝난 후에도 프리마켓(Pre-Market)과 애프터마켓(After-Hours Market)에서 거래할 수 있습니다.
1. 미국 주식 시간외 거래 시간 (한국 시간 기준)
구분 | 미국 동부시간 (EST) | 한국시간 (KST) |
---|---|---|
프리마켓 | 04:00~09:30 | 18:00~23:30 |
정규장 | 09:30~16:00 | 23:30~06:00 |
애프터마켓 | 16:00~20:00 | 06:00~10:00 |
2. 미국 주식 시간외 거래 참여 방법
-
프리마켓 & 애프터마켓 참여 가능 증권사
- 키움증권, 미래에셋증권, 한국투자증권 등
- 해외 주식 시간외 거래 옵션 제공 여부 확인 필수
거래 방법
3. 미국 주식 시간외 거래 시 주의점
✅ 장점
- 정규장 종료 후 발표된 뉴스에 반응 가능
- 시장 변동성을 활용해 추가 수익 기회 제공
❌ 단점
- 거래량이 적어 가격 변동성이 높음
- 스프레드가 커질 수 있어 예상 가격과 차이 발생
- 일부 증권사는 시간외 거래를 지원하지 않음
결론
주식 시간외 거래는 정규장 이후에도 매매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. 국내 주식은 장전 및 장후 시간외 거래와 단일가 거래로 진행되며, 미국 주식은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을 통해 거래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거래량이 적고 변동성이 크다는 점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.워렌 버핏은 이렇게 말했습니다.
“리스크는 자신이 무엇을 하는지 모를 때 발생한다.”
시간외 거래를 활용하려면 충분한 이해와 전략이 필요합니다. 본문에서 설명한 개념과 방법을 잘 숙지하여 성공적인 투자 전략을 세워보세요! 🚀